로그인 회원가입

CGN 투데이

바로가기
선교

선교사로부터 시작된 '어버이날'

839등록 2020-05-06
  • 페이스북
  • 트위터
  • BAND

CGN 투데이

#total
  • 키워드
    검색어 입력 폼
  • 방송일
    방송년도 및 방송월 선택 폼
◀앵커멘트▶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그리고 모레는 어버이날입니다.

어버이날이 선교사로부터 시작됐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그 유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박건희 기자입니다.


◀리포팅▶
1960년대 어머니 주일을 알리기 위해
사용됐던 포스터입니다.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에베소서 6장 2절,

너 낳은 어머니를 기쁘게 하라
잠언 23장 25절 말씀 등이 적혀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어버이날은
어머니 주일에서 시작됐습니다.

[인터뷰] 황선엽 관장 / 구세군역사박물관
어버이날은 우리나라의 최초로 1930년대에 구세군에서 어머니 주일이라고 하는 명칭으로 시작됐습니다. 구세군의 조셉바라고 하는 선교사가 한국구세군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구세군의 사령관이었는데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어머니 주일을 한국에서도 시행하면 좋겠다…

조셉바 선교사는
1908년 미국 필라델이파에서 시작된
어머니 주일을 한국에도 적용했습니다.

당시 유교 사상으로 남존여비 분위기가 가득했던 조선 땅에
일종의 계몽 운동으로 어머니 주일을 재정했습니다.

그는 여성의 인권 신장을 위해
구세군사관학교에서 여성 교역자들을 양성했고,

일반 여성들이 중심이 되는
가정부인단이라는 선교적 단체를 조직해

여성들을 교육하고 어머니로서의 역할에 대해
자긍심과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인터뷰] 황선엽 관장 / 구세군역사박물관
하나님이 주신 생명을 제일 먼저 자신의 몸에 잉태하고 제일 먼저 머무는 곳이 어머니이기 때문에 그 어머니가 가지고 있는 신앙이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또 어머니는 아내로서 한 가정의 남편을 내조하고 남편이 신앙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돕고 이끄는 귀한 역할을 감당하기 때문에 어머니는 여성으로 아내로서 역할이 중요하다고 가르쳤습니다.

1930년 6월 15일
구세군이 처음으로 어머니 주일을 재정하자

이를 본 다른 교회나 일부 교단들도
개별적으로 어머니 주일을 지정해 지키기 시작했습니다.

구세군은 어머니날을 지속적으로 알렸고,
그 취지에 동감한 국가는
1956년 어머니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합니다.

20여 년이 흐른 1973년,
가정의 아버지도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어머니날에서 어버이 날로 명칭이 변경됩니다.

[인터뷰] 황선엽 관장 / 구세군역사박물관
국가기념일이 만들어지면서부터 교회도 그 주간을 한국 기독교 내의 교회 절기로 받아들여서 어버이 주일이라는 명칭으로 시작했고, 현재는 대개 한국 교회가 전통적으로 5월에 특정한 주일을 혹은 한 주간을 어버이 주간, 어버이 주일로 드리고 있는 것입니다.

네 부모를 공경하라는 십계명의 다섯 번째 계명을 지키는 일.

나를 낳아주시고 길러주신 부모님께 감사하다는 표현이 그 시작입니다.

CGN투데이 박건희입니다.

가장 많이 본 기사

    /